국내 시사 정치

이 추경, 진짜 민생에 도움 될까? 아니면 또 쇼일까?

원라인펀치 NOW 2025. 4. 23. 10:16
반응형

이 추경, 진짜 민생에 도움 될까? 아니면 또 쇼일까?

세금 12조가 들어가는데, 정작 장바구니 물가는 그대로.
“국가가 돈 푼다면서 왜 나는 더 힘들어졌을까?”
여야 싸움만 뉴스에 나올 뿐, 우리는 또 소외된 건 아닐까요?


정부 추경 예산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시민 이미지

1. 추경이 뭐길래? 왜 12조나 푸는 건데

추경, 추경 하는데… 이거 사실 정식 명칭은 “추가경정예산”입니다. 예산 짰는데 돈 더 필요해서 추가 편성하는 거죠.
이번엔 무려 12조 원 규모. 정부는 민생 안정, 물가 대응 등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실제론 항목이 불투명한 부분도 많습니다.

2. 여야가 충돌한 핵심 포인트는 이거였음

여당은 “민생 위한 긴급 추경”, 야당은 “총선용 선심성 예산”이라고 주장하며 팽팽히 맞섭니다.
정쟁으로 시간이 끌리는 사이, 실질적인 정책은 공회전 중입니다.

3. 민생정책은 어디갔냐고요?

문제는 명확한 민생 체감 항목이 안 보인다는 것.
물가안정, 소상공인 지원, 복지 확대 등 말은 많은데 예산 배분표를 보면 헷갈리는 구조입니다.

4. 12조 중 실제 우리에게 오는 돈은 얼마?

항목 금액 비고
지방교부세 정산 6.5조 원 지방정부 세수 보전
기금 보전 및 재정 안정 2.1조 원 기금 재정 안정화 목적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1.8조 원 에너지 요금 등 지원
취약계층 생활안정 0.9조 원 저소득층 지원금
기타 (행정·긴급 대응) 0.7조 원 재난·긴급대응 예비비

→ 실질 체감 가능한 항목은 약 3조 원 수준입니다.

5. 내 생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단기적으론 에너지 지원, 생계 보조 등의 효과는 있으나 구조개선은 부족합니다.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비판도 적지 않아요.

6. 정치 말고 정책 좀 보자, 이제

정당 입장 핵심 주장
여당 추경 조기 통과 주장 “민생 회복을 위해 긴급 필요”
야당 추경 반대 및 축소 요구 “총선용 선심성 예산”
중도 소수정당 조건부 찬성 “민생 연결시 가능, 항목 조정 필요”

정책이 정쟁에 묻히지 않도록, 이제 국민이 정책 감시자 되어야 할 때입니다.


총정리 + 실행 팁

  • 요약: 12조 추경 중 민생 직접 타격 예산은 제한적. 여야 갈등 장기화 우려.
  • 실행 팁: 뉴스에 휩쓸리지 말고, 정책 방향을 꾸준히 ‘관심 있게’ 지켜보기!

참고자료

  • 기획재정부 보도자료, 2025년 4월
  • 국회 예산정책처 분석보고서, 2025년 3월
  • 한겨레,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주요 언론 보도 (2025.04)

※ 이 콘텐츠는 특정 정당을 지지하거나 비판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정책 내용을 민생 중심으로 해설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모든 수치는 언론 보도 및 정부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했으며, 정치적 의도 없이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